글로벌 컴퍼니나 정부의 클라우드 사용률에 비해 국내의 클라우드 산업은 확산이 더디고 있습니다. 이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을 제시.
1.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
a.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요
- ICT 자원을 직접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에서 서비스 이용량에 비례하여 비용을 지불하는 새로운 ICT인프라.
b. 클라우드 컴퓨팅의 필요성
- 비용절감 측면 : 직접 구축하는것보다 통계적으로 30%정도 저렴
- 업무혁신 측면 : 장소에 구애없이 언제 어디서나 사용가능
2. 국내 클라우드 산업 확산 지연 원인
a. 정부 규제
- '클라우드 컴퓨팅법' 및 '민간 클라우드 규제개선 추진단' 을 운영하여 클라우드 도입을 저해하는 규제를 발굴하고 있으나, 아직 의료, 금융,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서 클라우드를 저해하는 규제가 잔존해 있음.
b. IaaS 중심의 발전 방향
- 해외 클라우드 시장은 SaaS 기반의 시장으로 부가가치 창출이 쉬운 방면 한국의 경우, H/W중심의 IaaS가 주를 이루고 있어 산업계의 발전 및 부가가치 창출이 힘듦.
3. 국내 클라우드 산업 확산 지연 해결 방안
a. 공공기관 우선 도입 : 클라우드 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친하여 규제완화 및 안정선 검증
b. 민간기업 도입 활성화 : 산업단지 조성 및 활성화로 지속적인 규제 발굴 및 개선
c. 다양한 클라우드 산업 발전 : 최근 트랜드를 파악하여 적절한 SaaS, PaaS, IaaS 사업분야 개발 및 적용
참고 자료 :
- http://committee.tta.or.kr 국내외 클라우드 정책 및 산업동향
- http://skccblog.tistory.com 국내.외 클라우드 시장 현황
'IT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트너 2021 9대 전략기술 트랜드 요약 (0) | 2020.11.15 |
---|---|
스마트 멀티카드 fuze(bpay) 의 크라우드 펀딩(crowd funding) 시작 (2) | 2017.05.24 |
[데일리 이슈] 4차 산업혁명 (0) | 2017.04.19 |
[데일리 이슈]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(0) | 2017.04.19 |
[데일리 이슈] 인공지능 스피커 (0) | 2017.04.18 |